본문 바로가기

Flutter

MacOs에 Flutter 개발환경 세팅하기

요즘 flutter가 대세라길래 한번 써보고싶어서  개발환경을 세팅&요약해 보았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깔기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Download Android Studio and SDK tools  |  Android 스튜디오

developer.android.com

- Flutter plugin 설치

우측 하단에 configure 클릭

 

Plugins 클릭

 

flutter 바로 나온다 검색해도 되고 Install 클릭

 

install 하면 다시시작할지 묻는다 ok 하고

 

다시시작하면 create New Flutter Project 메뉴가 새로 생겼다.

 

눌러보면

뜨는데 Flutter SDK 가 없단다 sdk 도 설치해주자

sdk설치

flutter.dev/docs/get-started/install

 

Install

Install Flutter and get started. Downloads available for Windows, macOS, Linux, and Chrome OS operating systems.

flutter.dev

플러터 공식 홈페이지다 

 

다운받고 바탕화면에 압출을 풀었다.

 

나의  경로다 기억해 놨다가 path에 등록해 주자

 

vi ~/.bash_profile

 

export PATH="$PATH:/users/gyeonghuigim/desktop/flutter/bin"

 

나의 경우에는 zsh를 쓰기 때문에

vi ~/.zshrc 로  수정하였다

:wq로 나와서

 

flutter 쳐보면 잘 작동한다

 

flutter doctor 실행 하면 뭐가 잘못설치됐나 찾아주는듯 하다.

 

친절하다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를 실행해서 라이센스에 동의 하란다

하란대로 해주고

 

잘됐다

참고로 나의 경우 Xcode 는 깔려 이미 있었다

 

처음 xcode가 없으면

xcode를 깔아주고

sudo gem install cocoapods 로 cocoapods을 설치 해줘야한다.

 

Android Studio도 자기가 쓰고싶은 SDK 및

AVD 설치하고 하면되지싶다

 

 

그러고 다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들어가서 경로 입력해주면 flutter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CheckList

1.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2.플러터 플러그인 설치

3.플러터 sdk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4.안드로이드 애뮬레이터 설정

5.xcode 및 cocoapods 설치

6.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

 

 

자~알 된드아~ 한번에 다 성공한건 오랜만 

 

본격적인 개발은 다음에 시간 날때 해보도록 해야겠다 스토어에 올리는걸 목적으로.

  

 지금은 react-native로 하는 프로젝트가 있어서 하던걸 마무리 하고 flutter와 비교 후기를 남겨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