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 GitHub

(3)
Git 명령어 모음 git init =>새로운 저장소 만들기. git clone 사용자명@호스트 =>입력한 깃허브 내용 복제 (나의 저장소로 ) git add => 변경된 파일 인덱스 추가 git add * => 변경된 모든 파일 인덱스 추가 git commit -m => commit + 메모 git push origin master => 내로컬 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origin 이라는 원격 저장소에 master라는 브랜치로 저장 git remote add origin =>내 로컬 저장소에게 원격 저장소 주소를 연동 git clone /로컬/저장소/경로 git clone /로컬/저장소/경로 git clone /로컬/저장소/경로
GitHub 에 내 소스코드 올리고 다운받기 저번 시간에 기본적인 깃 사용법에 대해서 배워봤다. developer-haeng9.tistory.com/2 Git 사용법 대략 3년동안 회사에서 개발에 관련된 일을 해왔는데 이때까지 혼자,둘이서 작업 하다보니까 ,깃이 절실하다고 느겨지지 않아서 미루다가 드디어 공부할 시간이 나서깃을 공부를 하게 됐다 나 developer-haeng9.tistory.com 여기 까지 했으면 이제 깃허브에 내가 깃으로 작업한 프로젝트를 올릴 준비는 되었다. 이 글에선 깃으로 사용 한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려서 다른 컴퓨터에서 다운 받는걸 해보겠다. 이후 git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6 million developer..
Git 기본 사용법 대략 3년동안 회사에서 개발에 관련된 일을 해왔는데 이때까지 혼자,둘이서 작업 하다보니까 ,깃이 절실하다고 느겨지지 않아서 미루다가 드디어 공부할 시간이 나서깃을 공부를 하게 됐다 나는 개발환경이 MacOs 이다. 그러므로 터미널을 사용 하겠다 나의 프로젝트 경로 ->이동 이렇게 이 폴더 까지 이동했다 react-native 프로젝트 인데 사진에선 git init을 이미 했다 git init -이제 이 폴더는 깃에 관리하에 들어간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이름)"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 이메일 주소)" 깃을 제어할 정보까지 입력해 주었다 git status 아직 git 저장소에 내 프로젝트 들이 안담겼다 == 저..